2025 항공기 보조배터리 격리보관팩 절연테이프 변경사항 공지
보조배터리 격리보관팩·절연테이프 제도 전면 도입
2025년 9월 1일부터 항공기 내 보조배터리 관리 규정이 대폭 강화됩니다.
이는 2025년 1월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 이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정부와 항공사들이 마련한 후속 대책입니다.
이번 변경은 단순한 권고가 아닌 의무 사항으로 시행되며, 승객과 항공사 모두가 알아야 할 필수적인 제도이므로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주요 변경사항 한눈에 보기
구분 | 기존 | 변경(2025년 9월 1일부터) |
보조배터리 단락 방지 | 비닐봉투 제공 | 절연테이프 제공 |
보조배터리 화재 대응 | 일부 항공사 자율 비치 | 전 항공기 최소 2개 이상 격리보관팩 의무 비치 |
온도 감지 | 별도 장치 없음 | 기내 선반 외부에 온도 감지 스티커 부착 |
승객 보호조치 | 파우치, 보호캡 사용 일부 제한 | 자율적으로 파우치·단자보호캡 사용 허용 |
🔋 절연테이프 제공으로 보조배터리 단락 방지
기존에는 보조배터리를 비닐봉투에 넣어 단락(합선)을 막도록 안내했지만, 2025년 9월부터는 절연테이프를 단자에 직접 부착하도록 제도가 변경됩니다.
- 제공 장소: 수속 카운터, 보안 검색대, 탑승구, 기내 등
- 사용 방법: 보조배터리 단자에 절연테이프를 붙여 합선 방지
- 추가 허용: 승객은 자체적으로 보호 파우치, 단자 보호캡 등을 사용할 수 있음
➡️ 승객이 직접 안전조치에 참여함으로써 기내 보조배터리 사고 가능성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 격리보관팩(격리보관백) 의무 비치
모든 국적 항공기는 최소 2개 이상의 격리보관팩을 의무적으로 비치해야 합니다.
- 격리보관팩이란?
보조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길과 연기를 차단하고, 추가 폭발을 막을 수 있는 특수 제작 가방 - 적용 이유: 2025년 초 발생한 항공기 화재 사고 대응 미흡 사례를 보완하기 위함
- 승객에게 미치는 효과: 기내 화재 발생 시 빠른 진압과 승객 안전 확보
🌡️ 온도 감지 스티커 부착
2025년 9월부터는 모든 항공기 기내 선반 외부에 온도 감지 스티커가 부착됩니다.
- 기능: 보조배터리 과열 시 색상이 변해 이상 징후 조기 발견 가능
- 효과: 기내 화재 예방 및 승무원의 선제 대응 강화
👨👩👧 수혜 대상별 실질적 효과
1) 승객
- 보조배터리 단락 사고 예방으로 더 안전한 항공 여행 가능
- 보안 검색 과정에서 불필요한 분쟁 감소
2) 항공사
- 기내 화재 대응 체계 강화
- 안전사고로 인한 운항 지연·보상 비용 감소
3) 승무원
- 격리보관팩과 온도 감지 스티커 덕분에 화재 대응 시간 단축
- 안전 매뉴얼 간소화 및 신속 대응 가능
💡 실제 적용 사례
- 사례 1: 한 승객이 보조배터리를 가방 안에 넣고 기내 반입 → 절연테이프 부착 안내 → 기내 합선 위험 차단
- 사례 2: 기내에서 특정 승객의 보조배터리 과열 감지 → 온도 감지 스티커 색상 변화 → 승무원이 즉시 격리보관팩에 보관하여 화재 확산 방지
- 사례 3: 승객이 자체적으로 보호 파우치를 사용 → 추가 안전조치로 항공사·승객 간 안전 신뢰도 강화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보조배터리 크기와 용량에 관계없이 절연테이프를 붙여야 하나요?
👉 네, 모든 보조배터리는 단자 절연조치가 필요합니다.
Q2. 해외 항공사 이용 시에도 동일한 규정이 적용되나요?
👉 이번 조치는 국적항공사를 대상으로 하며, 해외 항공사는 국가별 규정이 다를 수 있으니 출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Q3. 절연테이프를 준비하지 못하면 어떻게 하나요?
👉 수속 카운터, 보안 검색대, 탑승구, 기내에서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Q4. 격리보관팩은 승객이 사용할 수 있나요?
👉 격리보관팩은 승무원 전용 장비로, 화재 발생 시 승무원이 즉시 활용합니다.
✈️ 2025 항공여행, 더 안전해진다
2025년 9월부터 시행되는 보조배터리 안전관리 변경은 단순한 규정 강화가 아니라, 승객과 항공사 모두의 안전을 위한 필수 대책입니다.
앞으로는 절연테이프 부착, 격리보관팩, 온도 감지 스티커까지 3중 안전망이 마련되므로, 승객들은 더 안심하고 비행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